1. 떡의 의의
-병(餠), 고(糕), 이(餌), 편(䭏), 병이(餠餌), 자(瓷)
-음식디미방: 편, 규합총서: 떡
-멥쌀, 찹쌀 또는 잡곡을 찌거나 삶거나 지져서
익힌 우리나라 고유의 곡물음식
-농경의 시작과 함께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
-시식, 절식, 통과의례음식, 나눔 음식
-밥 위에 떡
-별식, 의례음식
2. 떡의 역사
신석기시대부터 농경 시작
-죽(토기)->떡(시루)->밥(솥)à 유물로 추정
-삼국유사(권1호)신라본기 유리왕 원년(298):
떡을 깨물어 잇자국수로 왕위를 결정
-고려시대: 일반화된 떡의 종류가 160여종,
불교의 발달로 채식, 차, 떡과 과정류 발달
-조선시대: 떡의 종류와 맛이 다양, 섬세, 고급
화, 유교의 발달로 관혼상제 중시
-구황떡: 기능성 & 웰빙식품으로 각광
3. 세시풍속과 떡
1.정월
-떡국(첨세병, 添歲餠), 조랭이떡, 약식, 약과,
다식, 전(정)과, 강정, 인절미, 삼색주악, 식혜,
각색 단자, 식혜, 수정과
2. 대보름
-약식, 팥시루떡
3. 중화절(음력 2월 1일)
-노비송편(팥, 콩, 대추, 시래기 소)
4. 삼짇날(음력 3월 3일)
-화전, 산떡, 고리떡, 시루떡
5. 한식(음력 2월 하순, 3월 초)
-불을 쓰지 않고 만들어 둔 찬 음식을 먹음
-쑥떡, 쑥단자
6. 사월 초파일
-느티나무설기떡, 장미화전
7. 단오
-수리취떡(차륜병)
-임금이 일흔 넘은 정이품 이상 신하들에게
제호탕 하사
8. 유두(6월 15일)
-상화병, 밀전병, 수단
9. 삼복: 증편, 주악
10. 추석: 햅쌀 송편
11. 중양절: 국화전
12. 상달: 팥시루떡
13. 동지: 팥죽
4. 통과의례와 떡
1. 출생: 삼신상(쌀, 장곽, 정화수 3그릇)
2. 삼칠일: 백설기
3. 백일: 백설기, 차수수경단, 오색송편
4. 돌: 백설기, 팥수수경단, 오색송편, 무지개떡,인절미
5. 혼례: 봉치떡(찹쌀3되, 팥1되, 2켜, 중앙에 대추 7개),
달떡, 색떡, 약식, 엿,
단자류, 오색인절미
6. 회갑: 백편, 꿀편, 승검초편, 화전, 주악,
단자, 약과, 인절미, 부꾸미, 유과,
깨강정, 다식(송화, 흑임자)
7. 제례: 녹두고물편, 꿀편, 거피팥고물편, 주악, 단자
5. 지방별 떡의 특색
1. 서울, 경기도
-색떡(절편), 여주산병, 우메기떡&경단&조랭
이떡(개성), 근대떡(강화), 개떡, 상추설기,
김치떡(백령도), 배피떡, 수수벙거지, 쑥갠 떡,
쑥버무리, 웃지지
2. 충청도
-꽃산병(절편), 쇠머리떡, 해장떡, 칡개떡, 곤떡,
감자떡, 볍씨쑥버무리, 햇보리떡,
호박송편, 호박떡, 장떡, 증편
3. 전라도
-감시리떡, 감고지떡, 감인절미, 감단자, 나복병, 복령떡, 송피떡,
차조기떡, 호박고지차시루편, 호박메시리떡, 풋호박떡,
고치떡, 익산섭전, 콩대끼떡, 모시송편, 밀기울떡
4. 경상도
-감설기, 편떡, 쑥구리단자, 망개송편(거창), 밀비지,
잡과편, 잣구리, 칡떡
5. 제주도
-빼대기떡, 빙떡(차조빙떡), 반착곤떡, 달떡, 도돔떡,
상애떡
6. 강원도
-감자시루떡, 감자떡, 감자녹말송편, 감자경단,
감자뭉생이, 감자투생이, 언감자떡, 옥수수설기, 옥수수보리개떡,
옥수수칡잎떡, 메밀전병, 댑싸리떡, 메싹떡, 무송편
8. 평안도
-노티, 감자시루떡, 조개송편, 골미떡, 뽕떡,
니도래미, 송기절편
9. 함경도
-언감자송편, 콩떡, 깻잎떡, 달떡, 귀리절편,
오그랑떡, 기장인절미, 곱장떡(꼬장떡)
6. 제조방법에 따른 떡의 분류
1.찌는 떡: 100여종
1)설기떡
-떡 중 가장 기본
-백설기, 잡과꿀석기, 밤설기, 감설기, 석이병,
쑥설기, 느티떡, 무떡
2) 켜떡
-시루떡: 켜를 두껍게 한 떡, 고사떡, 봉치떡
-켜떡: 켜를 얇게 한 것, 의례용
고물은 붉은 팥, 거피팥, 석이,
흑임자, 녹두, 흑태, 흰깨
3) 빚어 찌는 떡
-송편(송병): 콩, 팥, 거피팥, 거피녹두, 잣, 호도,
밤, 꿀, 계피 소를 사용
-두텁떡(혼돈병, 합병, 후병): 볶은 팥소, 대추,
건시, 잣, 밤, 대추, 계피, 꿀 소를 사용
4) 부풀려 찌는 떡
-증편(증병, 기증병, 술떡)
-상화(쌍화): 채소, 고기,
팥, 콩, 깨 소를 사용
2. 치는 떡
1) 가래떡류
2) 인절미류(인절병, 인병)
3) 절편류: 성호사설에 처음 등장, 떡살
4) 개피떡류: 이조궁중음식연회고에 갑피병
5) 단자류
3. 지지는 떡
1) 화전류
2) 주악류
3) 부꾸미
4) 산승: 웃기떡, 현재는 거의 사라짐
5) 전병류(자병)
4. 삶는 떡: 경단(병)
'식품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정류(菓飣類)와 음청류(飮淸類)의 역사와 특징 (0) | 2020.05.13 |
---|---|
떡 만드는 방법과 원리 (0) | 2020.05.12 |
맛있는 김치찌개를 만드는 비법 (0) | 2020.05.09 |
맛있는 밥 짓는 방법과 종류 (1) | 2020.05.08 |
파스타(스파게티)의 역사 (1)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