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의 의의와 역사와 떡의 종류
1. 떡의 의의 -병(餠), 고(糕), 이(餌), 편(䭏), 병이(餠餌), 자(瓷) -음식디미방: 편, 규합총서: 떡 -멥쌀, 찹쌀 또는 잡곡을 찌거나 삶거나 지져서 익힌 우리나라 고유의 곡물음식 -농경의 시작과 함께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 -시식, 절식, 통과의례음식, 나눔 음식 -밥 위에 떡 -별식, 의례음식 2. 떡의 역사 신석기시대부터 농경 시작 -죽(토기)->떡(시루)->밥(솥)à 유물로 추정 -삼국유사(권1호)신라본기 유리왕 원년(298): 떡을 깨물어 잇자국수로 왕위를 결정 -고려시대: 일반화된 떡의 종류가 160여종, 불교의 발달로 채식, 차, 떡과 과정류 발달 -조선시대: 떡의 종류와 맛이 다양, 섬세, 고급 화, 유교의 발달로 관혼상제 중시 -구황떡: 기능성 & 웰빙식품으로 각광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