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식된장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된장의 유래 및 특징 된장의 유래 및 특징 (요약) 콩을 삶아서 띄워 말린 메주와 소금물을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것이 간장이고,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이 된장입니다. 유래된장의 주재료인 메주는 콩으로 만듭니다. 옛날 고구려 시대의 만주 지역에서 콩을 재배 하였고, 따라서 콩을 이용한 저장식품 된장을 고구려에서 발명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증거로는, 290년경 진수의 '정사삼국지' 중 '위지동이전' 에는 '동이족(고구려인)은 장 담그는 솜씨가 훌륭하다' 발해의 명물은 된장이다. 라고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290년 이전부터 고구려에서 콩을 이용하여 저장식품을 만들어왔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려사 에는 982년에 최승로의 건의문과 1049년(문종 3) 개성..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