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혜를 만들 때 유의사항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식혜의 유래 및 특징 식혜의 유래 및 특징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을 엿기름으로 삭혀서 감미가 나도록 만든 우리나라의 전통 음료. 유래식혜를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수로왕의 제사상에 감주, 술, 밥, 차, 떡, 와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실린 (행당맥락杏餳麥酪)의 '낙酪' 을 감주나 식혜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고 전해집니다. 1700년대 영조대英祖代의 문헌 (수문사설謏聞事說)에서는 "송도의 식혜 맛이 아름답다." 라고 하였고, 온돌의 열을 이용해 식혜를 만드는 방법이 기록되어있습니다. 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제사상에는 식혜의 밥알만 건져 올렸다고 합니다. 특징식혜는 잔치나 명절 때 음식을 먹고 난 뒤 대접에 시원하게 마.. 이전 1 다음